
문제 설명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다음과 같은 n × n 크기의 이차원 배열 arr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. arr[i][j] (0 ≤ i, j 제한사항1 ≤ n ≤ 100 입출력 예입출력 예 설명🌀class Solution { public int[][] solution(int n) { int[][] answer = new int[n][n]; for(int i = 0; i [풀이 포인트]→ 배열의 기본 초기화 값Java에서 정수형 배열 생성 시, 모든 원소는 자동 0으로 초기화→ 따로 0을 채워넣을 필요 없다.조건에서 i와 j가 같은 위치 (주대각선)만 1로 설정하면 된다.→ for문을 통해 각 행의 i번째 원소..

문제 설명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myString이 주어집니다. 알파벳 순서에서 "l"보다 앞서는 모든 문자를 "l"로 바꾼 문자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 제한사항1 ≤ myString ≤ 100,000 myString은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입니다. 입출력 예입출력 예 설명입출력 예 #10 ~ 4번 인덱스의 문자 "a","b","c","d","e"는 각각 "l"보다 앞서는 문자입니다. 따라서 "l"로 고쳐줍니다. 그 외의 문자는 모두 "l"보다 앞서지 않는 문자입니다. 따라서 바꾸지 않습니다. 따라서 "lllllvwxyz"을 return 합니다.입출력 예 #20번, 1번, 6번, 7번 인덱스의 문자 "j","j","k","k"는 각각 "l"보다 앞서는..

문제 설명 제한사항2 ≤ numLog의 길이 ≤ 100,000 -100,000 ≤ numLog[0] ≤ 100,000 1 ≤ i ≤ numLog의 길이인 모든 i에 대해 |numLog[i] - numLog[i - 1]|의 값은 1 또는 10입니다. 입출력 예입출력 예 설명입출력 예 #1result인 "wsdawsdassw"를 따라 numLog[0]에서부터 시작해 조작을 하면 numLog의 값과 순서대로 일치합니다. 따라서 "wsdawsdassw"를 return 합니다. 🤔 연속된 숫자의 차이에 따라 특정 문자열로 변환class Solution { public String solution(int[] numLog) { StringBuilder answer = new Stri..

문제 설명아무 원소도 들어있지 않은 빈 배열 X가 있습니다. 양의 정수 배열 ar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arr의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원소를 보면서 원소가 a라면 X의 맨 뒤에 a를 a번 추가하는 일을 반복한 뒤의 배열 X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제한사항1 ≤ arr의 길이 ≤ 100 1 ≤ arr의 원소 ≤ 100 입출력 예 입출력 예 설명입출력 예 #1[1, 2, 3, 4, 5] 안에 3이 있으므로 1을 return합니다.입출력 예 #2[15, 98, 23, 2, 15] 안에 20이 없으므로 0을 return합니다. 🤔 ArrayList와 이중 for문 사용import java.util.ArrayList;class Solution { public int[]..

문제 설명정수 리스트 num_list와 찾으려는 정수 n이 주어질 때, num_list안에 n이 있으면 1을 없으면 0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제한사항3 ≤ num_list의 길이 ≤ 100 1 ≤ num_list의 원소 ≤ 100 1 ≤ n ≤ 100 입출력 예입출력 예 설명입출력 예 #1[1, 2, 3, 4, 5] 안에 3이 있으므로 1을 return합니다. 입출력 예 #2[15, 98, 23, 2, 15] 안에 20이 없으므로 0을 return합니다.🤔 아쉽군..class Solution { public int solution(int[] num_list, int n) { int answer = 0; for(int i ..

문제 설명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. 예를 들어 array가 [1, 5, 2, 6, 3, 7, 4], i = 2, j = 5, k = 3이라면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[5, 2, 6, 3]입니다.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[2, 3, 5, 6]입니다.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. 배열 array, [i, j, k]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 제한사항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 arr..